정치.경제

SK하이닉스, CES2025에서‘풀 스택 AI 메모리 프로바이더’ 청사진 제시

SK하이닉스가 오는 7일부터 10일(현지 시간)까지 미국 라스베이거스에서열리는 ‘CES 2025’에 참가해 혁신적인 AI 메모리 기술력을 선보인다고 3일 밝혔다.

이번 행사에는 곽노정 대표이사 사장(CEO, Chief Executive Officer)과 함께 김주선 AI Infra(인프라)사장(CMO, Chief Marketing Officer), 안현 개발총괄 사장(CDO, Chief Development Officer)등 SK하이닉스 ‘C-Level’(C레벨)경영진이 참석한다.

SK하이닉스 김주선 사장은 “이번 CES에서 HBM, eSSD등 대표적인 AI 메모리 제품을 비롯해 온디바이스 AI에 최적화된 솔루션과 차세대 AI메모리를 폭 넓게 선보일 것”이라며, “이를 통해 ‘풀 스택 AI메모리 프로바이더(Full Stack AI Memory Provider)*’로서 미래를 준비하는 당사의 기술 경쟁력을 널리 알리겠다”고 강조했다.

* ‘전방위 AI 메모리 공급자’라는 의미로, AI관련 다양한 메모리 제품과 기술을 포괄적으로 제공하겠다는 의미

SK하이닉스는 ‘혁신적인 AI기술로 지속가능한 미래를 만든다(Innovative AI, Sustainable tomorrow)’를 주제로 SK텔레콤, SKC, SK엔무브 등 SK관계사들과 공동 전시관을 운영한다. 전시관은 SK그룹이 보유한 AI인프라와 서비스가 세상을 변화시키는 모습을 빛의 파도 형태로 구성했다.

세계 최초로 5세대 HBM(HBM3E) 12단 제품을 양산해 고객에게 공급하고 있는 SK하이닉스는 작년 11월에 개발을 공식화한 5세대HBM(HBM3E) 16단 제품 샘플을 이번 전시에 선보인다. 이 제품은 어드밴스드(Advanced) MR-MUF공정을 적용해 업계 최고층인 16단을 구현하면서도 칩의 휨 현상을 제어하고 방열 성능을 극대화했다.

또, 회사는 AI데이터센터 구축이 늘면서 수요가 급증하고 있는 고용량, 고성능 기업용 SSD(eSSD, enterprise SSD)제품도 전시한다. 여기에는 자회사인 솔리다임(Solidigm)이 작년 11월 개발한 'D5-P5336' 122TB(테라바이트)제품도 포함된다. 이 제품은 현존 최대 용량에 높은 전력,공간 효율성까지 갖춰 AI 데이터센터 고객들로부터 큰 관심을 받고 있다.

SK하이닉스 안현 사장은 “솔리다임에 이어 SK하이닉스도 지난 12월 QLC(Quadruple Level Cell)*기반 61TB 제품 개발에 성공한 만큼 고용량 eSSD시장에서 양사 간 균형 잡힌 포트폴리오를 바탕으로 시너지를 극대화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한다”고 전했다.

* 낸드플래시는 한 개의 셀(Cell)에 몇 개의 정보(비트 단위)를 저장하느냐에 따라 SLC(Single Level Cell, 1개)-MLC(Multi Level Cell, 2개)-TLC(TripleLevel Cell, 3개)-QLC(Quadruple Level Cell, 4개)-PLC(Penta Level Cell, 5개)등으로 규격이 나뉨. 정보 저장량이 늘어날수록 같은 면적에 더 많은 데이터를 저장할 수 있음

SK하이닉스는 PC나 스마트폰 같은 엣지(Edge)디바이스에서 AI를 구현하기 위해 데이터 처리 속도와 전력효율을 개선한 ‘LPCAMM2*’, ‘ZUFS 4.0’**등 온디바이스 AI용 제품도 전시한다. 차세대 데이터센터의 핵심 인프라로 자리잡을 CXL과 PIM(Processing in Memory),그리고 각각 이를 적용해 모듈화 시킨 CMM(CXL Memory Module)-Ax와 AiMX***도 함께 전시한다.

* LPCAMM2(Low Power Compression Attached Memory Module 2): LPDDR5X기반의 모듈 솔루션 제품으로 기존 DDR5 SODIMM 2개를 LPCAMM2 1개로 대체하는 성능 효과를 가지면서 공간을 절약하고 저전력과 고성능 특성을 구현

** ZUFS(Zoned Universal Flash Storage): 플래시 메모리 제품인 UFS의 데이터 관리 효율을 향상시킨 제품으로,유사한 특성의 데이터를 동일한 구역(Zone)에 저장하고 관리해 운용 시스템과 저장 장치간의 데이터 전송을 최적화함

*** AiMX(AiM based Accelerator): SK하이닉스의 PIM제품인 GDDR6-AiM 기반 가속기 카드

특히, CMM-Ax는 고용량 메모리를 확장할 수 있는 CXL의 장점에 연산 기능을 더해 차세대 서버 플랫폼*의 성능과 에너지 효율 향상에 기여할 수 있는 획기적인 제품이다.

* 플랫폼(Platform): 하드웨어와 소프트웨어 기술이 집약된 컴퓨팅 시스템(Computing System)을 의미. CPU,메모리 등 컴퓨팅을 가능하게 하는 모든 중요 구성 요소를 포함하는 시스템

SK하이닉스 곽노정 CEO는 “AI가 촉발한 세상의 변화는 올해 더욱 가속화할 전망으로,당사는 올해 하반기 6세대 HBM(HBM4)을 양산해 고객들의 다양한 요구에 부합하는 맞춤형(Customized) HBM시장을 선도하겠다”며 “SK하이닉스는 앞으로도 기술 혁신을 바탕으로 AI시대에 새로운 가능성을 제시하고, 고객들에게 대체 불가능한 가치를 제공할 수 있도록 최선을 다하겠다”고 밝혔다.


SK하이닉스, CES2025에서‘풀 스택 AI 메모리 프로바이더’ 청사진 제시

2024년 한 해 수고하셨습니다. 송년사

 존경하고 사랑하는 단양군민 여러분!

 그리고 자랑스러운 공직자 가족 여러분!

 ‘군민중심·감동행정’의 닻을 달고 쉼 없이 파고를 헤쳐온 갑진년 한 해가 저물고 있습니다. 

 ‘건강한 단양, 살고 싶은 단양’을 완성해 나가는 여정에 군민 여러분의 관심과 성원이 큰 힘이 되어 주셨기에 어느 해보다도 많은 성과를 이룰 수 있었고 보람된 한 해였습니다.


  한 해를 되돌아보면, 주력 산업인 관광이 활기를 되찾으며 지역경제 회복의 신호를 보였지만 지정학적 긴장과 글로벌 경제침체, 그리고 국내 정치혼란 등으로 새로운 위기들이 우리 앞에 다가왔습니다.

  기록적인 폭염과 늦더위가 있었지만 예년의 태풍, 폭우·폭설, 우박이 없어 자연재해는 비교적 덜했던 한 해였습니다.

  이러한 여건 속에서도 맡은 일을 묵묵히 다함은 물론 희생과 봉사를 아끼지 않으신 군민 여러분께 깊이 감사드립니다. 그리고 혁신의 길을 함께 한 670여 공직자 여러분의 헌신에도 치하의 말씀을 드립니다. 


 존경하는 단양군민 여러분! 그리고 공직자 여러분!

 2024년은 군정 각 분야에서 군민 중심의 새로운 패러다임을 실현하며 단양의 비상을 본격적으로 시작한 해였습니다.

  군정을 비롯한 유관기관·단체마다 어느 해보다도 많은 실적을 거두었습니다. 자원봉사 분야 전국 3위, 도내 시군 새마을회 종합평가 최우수상 등 모두 40여개에 이르는 수상실적으로 도내는 물론 중앙단위에서도 인정하는, 의미있는 상을 많이 받았습니다.

 단양의 변화와 성장을 위한 공약사업과 현안사업에 대한 특별관리로 군정의 실천력을 높이고 미래를 준비하는 발판을 만들었습니다. 

  그 결과 군정 각 분야는 물론 유관기관·단체에서 거둔 성과를 헤아리기 어렵지만 10대 성과를 추려보면 

 ▶ 지방소멸 대응기금 평가 160억원 확보(전국 8시군)

 ▶ 지역활성화 투자펀드 전국 1호사업 선정

    - 단양역 복합관광단지 개발사업(총사업비 1,133억원)

 ▶ 4대시설 준공·운영(보건의료원, 올누림센터, 삼구인화원, 보발재 전망대)

 ▶ 유네스코 세계지질공원 지정심의 통과

 ▶ 도민체전 8위

 ▶ 생활불편처리반 운영

 ▶ 내륙관광 1번지 도약

    - 전국 1위 : 디지털 관광주민증 비율(인구대비 6.4배)

    - 전국 6위 : 생활인구 비율(인구대비 10배)

    - 전국 8위 : 여름휴가 여행만족도(전년 21위)

 ▶ 역대 최대의 공모사업 선정 : 40건 총사업비 1,848억원(최근 5년 평균 1.8배)

 ▶ 기관·단체마다 역대급 수상

 ▶ 단양 사투리 경연대회 개최

  이와 같이 금년 한 해는 어느 해보다도 많은 성과를 거두었습니다. 군민 여러분과 공직자들의 헌신적인 열정의 덕분으로서 다시 한번 노고에 경의를 표합니다.

  이러한 성과를 분야별로 뒤돌아보면 먼저 군정의 곳간을 튼튼히 하는데 의미있는 결실을 거둔 한 해였습니다.

  우리 군의 미래 초석이 될 중요한 정책결정과 국비 예산확보를 위해 중앙부처는 물론 여야 국회의원, 정부투자기관을 수없이 방문하여 논리적으로 설득, 건의하는데 온 힘을 쏟았습니다. 

 그 결과 국·도비 1,425억원과 지방교부세 2,163억원을 확보하는 성과를 거두었고 66억원의 특별교부세와 특별조정교부금을 확보할 수 있었습니다.

  특히 지방소멸 대응기금 우수시군 선정으로 160억원의 기금을 확보한 것은 군민과 공무원이 함께 이뤄낸 소중한 결실이었습니다. 

  무엇보다 올해는‘내륙관광 1번지, 단양’을 만들기 위해 최선을 다했던 한 해였습니다. 

 정부와 충청북도가 주관한 각종 공모사업에서 7개 분야가 선정돼 총 1,241억원의 사업비를 확보하면서‘대한민국 내륙관광 1번지’로서의 기반을 더욱 탄탄히 다졌습니다.

 새로운 관광수요를 창출하기 위해 3년 연속 우수등급을 받은 관광특구 활성화 사업을 지속해서 추진하고, 철도공사와 청주공항과 MOU를 체결해 생활인구와 국내외 관광객 유치에 힘썼습니다.

 단양역 복합관광단지 개발사업이 전국1호 투자펀드 사업으로 선정되면서 지역 관광의 미래의 기반을 다지는 성과를 거두었으며 애곡리 리조트와 올산리 골프·리조트 사업도 속도를 내고 있습니다.

 스튜디오 다리안 W사업의 공모선정은 다리안 디캠프 사업과 함께 단양이 진정한 관광도시로 자리잡는 계기가 되었고 시루섬 주변연계 관광루트 사업도 순조롭게 추진 중입니다. 

 보발재 전망대 완공에 따른 효과성을 실감했습니다. 도담정원, 소선암 치유의 숲, 관상어 체험․전시시설도 계획대로 추진돼 관광객 유치에 큰 역할을 할 것입니다. 이러한 새로운 관광시설들은 자연경관 속에서 치유와 여가, 현장체험을 즐길 수 있는 공간으로 자리 잡아 단양의 매력을 더욱 높여갈 것입니다. 

 또한, 올해 제40회 소백산철쭉제와 제26회 온달문화축제를 성공적으로 열었으며‘수상레저의 메카 단양’ 이미지를 확대하기 위해 단양 레이크파크 수상스포츠 페스티벌과 모토서프 아시아 챔피언십 등을 성공적으로 개최하고 다양한 수상레저 체험 프로그램을 운영하여 단양을 새로운 관광 트렌드의 중심지로 자리잡게 했습니다.

 이러한 과정을 통해 지난 해 우리 군은 디지털 관광 주민증 발급비율이 인구대비 6.4배로 전국 1위, 2/4분기 생활인구는 인구대비 10배로 전국 6위, 여름휴가 여행 만족도 조사에서 전년도 전국 21위에서 8위로 도약하는 등 전국적 지표로 증명되었습니다. 

  이 달에는 KTX 중앙선의 완전개통으로 부산까지 2시간 40여분이면 도착하게 되어 관광객 유치에 청신호를 마련한 한 해였습니다. 

 군민 누구나 만족할 수 있는 활력 넘치는 지역 경제를 실현하기 위해 다양한 프로젝트를 추진했습니다. 

  단양구경시장은 디지털 전통시장 육성사업과 지역특성을 반영한 공모사업으로 특성화 시장으로의 발전을 위한 노력을 지속해 왔으며, 오랜 숙원이었던 구경시장 주차타워 조성사업도 사전절차 고비를 넘어 본격적 추진기반을 마련했습니다. 

  또한, 전문기능인력 양성과정 운영, 청년창업 지원사업, 취업지원 서비스 등을 통해 청년들이 안정적으로 일자리를 찾고 지역에 정착할 수 있도록 힘썼습니다.

  시장경영 패키지 지원사업을 통해 전통시장의 역량을 강화하고, 지역 소상공인 경쟁력 강화를 위해 단양사랑 상품권 유통을 확대하여 지난해보다 16% 증가된 250억원 규모의 판매액을 달성함으로써 지역경기 활성화에 기여했습니다.

 신규 산업단지 기본계획 수립, 단양형 소상공인 및 중소기업 경영지원, 기업 정주여건 개선 사업을 통해 기업하기 좋은 환경을 만들었으며, CCU 기업지원센터 건립 사업과 시멘트산업 이산화탄소 저감 종합실증센터 구축사업이 정부공모사업에 선정됨으로써 CCU 선도지역으로 도약하는 기틀을 마련했습니다. 

농업 분야에서도 대담한 혁신의 결실을 이루어냈습니다.

  가장 큰 성과는 2전 3기 끝에 농림축산식품부 공모에 선정된 농촌협약 사업입니다. 단양읍 농촌중심지 활성화 사업과 대강·가곡·영춘·적성면 기초생활거점 조성사업의 기본계획 수립 용역을 시작하며 담대한 첫발을 디딘 것입니다.

 또한, 농촌 신활력플러스 사업으로 추진하는 농촌 스마트 혁신센터를 착공했고 통합 플랫폼 구축, 스마트팜 조성사업, 대형 농특산물 판매장 조성을 위한 계획도 완성되었습니다. 이를 통해 농업 경쟁력 강화를 위한 지속적인 노력이 이어지고 있습니다.

 농촌의 경제적 어려움을 극복하기 위해 외국인 계절근로자 유치, 농기계 임대, 인력지원관리센터 운영, 마을공동 급식소 등을 지원하여 농촌 인력난 해소에 크게 기여했습니다.

 영농 편의장비와 과수 생산장비 지원으로 농업 환경을 개선하고, 친환경 농산물 육성 및 수박 명품화 사업을 통해 생산량을 늘리고 품질 향상에 힘썼습니다. 또한, 농업인 공익수당과 귀농 정착장려금 지원으로 농업인들의 사기를 높이고 있습니다. 

 풍부한 산림자원을 활용한 단양지방정원과 소백산 그린랜드 조성사업도 차근차근 절차를 밟아가며 관광시설과 연계한 산림 관광자원의 큰 그림을 그리고 있습니다.

 지역에 맞는 농업정책을 잘 개발하고 추진한 덕분에, 전국적으로 귀농귀촌 인구가 줄어드는 상황에서도 지난 2년 동안 꾸준히 증가세를 이어갔습니다. 그 결과 대한민국 대표브랜드 귀농귀촌 도시 대상을 수상하며 귀농귀촌의 최적지로 인정받는 성과를 이루었습니다.

  특히 서울특별시새마을부녀회와의 상생발전 업무협약으로 향후 농촌일손돕기, 농산물 마케팅, 귀농귀촌 활성화를 위한 큰 틀을 마련한 일도 보람있었습니다. 

특히 응급의료와 복지사업에 온 힘을 다했습니다.

 올해 최고의 의료성과는 7월 1일 단양군 보건의료원이 문을 연 일입니다. 우수한 의료진과 100여종의 최신 의료장비를 갖추어 성공적으로 개원한 이후, 지금까지 안정적인 운영을 이어오고 있습니다. 

 민선 8기 군정방향인‘건강한 단양 실현’을 위해 명사 초청 강연과 걷기 활성화 등 다양한 참여형 프로그램을 확대하여 군민 여러분께서 스스로 건강을 가꾸고 일상에 활력을 더하는 소중한 성과를 이뤘습니다. 

 인구시책 사업의 일환으로 출산과 육아를 지원하는 모자보건사업과 출산장려금을 제공하였으며, 국가유공자에게는 보훈병원 위탁병원을 지정하여 향상된 의료 서비스를 지원하였습니다. 또한, 소아청소년과와 비뇨기과 등 부족한 의료 분야는 전문 병원과 협력해 파견진료를 시행함으로써 새로운 단양형 의료모델을 만들어 가고 있습니다.

 아울러, 저소득층의 경제적 어려움을 세심히 보듬고 나눔의 문화를 확산하기 위해 생계·의료 급여, 위기가구 지원 등 다양한 복지사업을 추진하여 실질적인 성과를 거두었으며, 자원봉사 참여자 확대에도 큰 진전을 이루었습니다.

 우리 군 인구의 38%에 이르는 어르신들이 건강하고 활기찬 노후를 보낼 수 있도록 다양한 지원을 아끼지 않았습니다. 한 해 동안‘건강한 어르신’을 발굴, 표창하고 이를‘건강한 단양’의 상징으로 자리매김하는 성과도 있었습니다.

 이와 더불어 노인복지 시설 운영과 경로당 개보수, 운영비 지원을 강화하고, 노인 일자리 사업도 확대해 어르신들이 따뜻하고 풍성한 일상을 누리실 수 있도록 했습니다.

  특히 이른 봄부터‘경로당 현대화 5개년계획’을 내년부터 시행하기 위해 지난 1년간 참으로 많은 준비를 해왔습니다. 돌봄 AI로봇 지원사업을 비롯해 장애인 생활보장 및 지원 서비스 확대, 아동복지시설 운영 등 전 계층을 배려하는 복지정책도 적극적으로 추진하였습니다.

  항구적인 발전을 이루기 위해 지역개발에 역량을

 모았습니다.

 우리 지역 발전의 초석이 될 도담지구 기반 조성, 단성 상·하방지구 개발, 단양읍 관광 연계도로 개설, 단양읍 도시재생 뉴딜사업 등 대형 프로젝트에 대한 행정절차를 차질 없이 진행함으로써 본격적인 사업추진을 앞두고 있습니다.

 또한, 수변로 주차장 조성과 단양 별곡 공용 주차장 건립사업은 실시설계 용역을 완료하거나 공사를 시작하여, 내년 준공을 목표로 순조롭게 추진되고 있습니다.

 도로 확·포장, 위험도로 개선, 주민 숙원사업 등을 적기에 추진하여, 주민들이 체감할 수 있는 안전하고 편리한 생활 환경 조성에 크게 기여했습니다. 

  환경문제는 청정단양을 지켜나가야 한다는 소명의식으로 접근했습니다.

 올해 9월 열린 유네스코 세계지질공원 이사회에서 만장일치로 지정 신청이 통과되는 역사적인 쾌거를 이뤘습니다.

 또한, 자원순환세 법제화를 위해 6개 시군이 함께 행정협의회를 운영하면서 연구용역 추진, 자문위원 위촉, 민관이 함께하는 추진단 발대식, 전문가 회의 등을 통해 가시적인 성과를 만들어냈습니다.

 총 127억원이 투입된 영춘정수장 현대화, 지방상수도 노후관 교체, 그리고 지방상수도 확충 사업이 완료됐거나 순조롭게 진행 중입니다. 이를 통해 안전하고 깨끗한 물을 공급하며 주민들의 삶의 질을 높이는 데 최선을 다했습니다.

 지난 4월초와 이달에도 탱크로리 기름유출 사고가 발생했을 때 유관기관·단체와 힘을 합쳐 잘 대응함으로써 환경오염을 막고 주민안전을 지켜낼 수 있었습니다. 

 뿐만 아니라 이번 일을 계기로 재발방지를 위한 근본적인 대책을 마련할 수 있었다는 점도 의미있는 한 해였습니다.

 모두가 살고 싶은 단양을 위해 소통과 협력의 공동체를 만들어가고 있습니다.

 지난 7월 작은 영화관과 도서관을 갖춘 복합문화공간인 올누림센터 개원은 군민의 문화생활 기회를 넓히는, 의미있는 진전이었습니다.

 또한, 생활불편 처리반과 주민불편 신속처리제를 통해 취약계층의 주거 문제와 주민 불편을 빠르게 해결했으며 효자·효부와 미담 사례를 발굴해 공동체의 모범을 널리 알렸습니다. 

  특히 주차장 조성, 지역개발사업 등 군민생활과 밀접한 사업에 대해서는 주민의견을 폭넓게 듣고 사업에 반영하기 위해 사업설명회, 공청회 등 소통의 기회를 확대해왔습니다. 아울러 아이디어 공모 등 군정에 대한 군민참여 활성화를 위해 노력했습니다.

  비교적 넉넉한 사람들보다는 어렵고 힘들게 살아가는 취약계층에게 행정의 따스한 온기를 전해 드리기 위해 힘썼습니다. 하후상박(下厚上薄)을 실현하기 위한 노력은 민선8기 단양군정의 핵심가치입니다. 

  아울러 미래의 희망인 청소년을 위해 우수농산물을 활용한 학교급식과 무상급식 지원 등으로 더 나은 교육 환경을 만들어왔습니다. 이와 더불어 청소년들이 문화적 감성과 역량을 키울 수 있도록 다양한 기회를 마련하고, 청소년 토크콘서트와 페스티벌을 통해 자신감을 북돋았습니다. 이들의 열정과 활력 덕분에 단양은 점점 더 따뜻하고 활기찬 지역으로 성장하고 있습니다.

 이와 함께 청년희망센터의 조성 계획은 청년들에게 새로운 도전의 기회를 열어주며 지역의 미래를 이끌어갈 인재들이 성장할 수 있는 발판을 마련하는 중요한 첫걸음이 될 것입니다. 

이 모든 결실은 민선 8기 군정을 향한 군민 여러분의 아낌없는 성원과 670여 공직자들의 헌신적인 노력이 있었기에 가능했습니다.

  존경하고 사랑하는 군민 여러분!

 그리고 자랑스러운 공직자 가족 여러분!

‘건강한 단양, 살고 싶은 단양’을 지향하는 민선 8기 단양 군정은 군민의 기대와 바람을 이정표로 삼아 힘차게 나아가고 있습니다. 군정 각 분야에서 새로운 패러다임을 모색하며 끊임없는 변화와 혁신을 거듭해 온 시간에 큰 보람과 자부심을 느낍니다.

 한 해 동안 보내주신 신뢰와 성원은 변화의 물결 속에서 다양한 정책을 성공적으로 추진하는 데 큰 힘이 되었습니다. 또한 개혁과 도전의 여정을 함께 해 온 공직자들은 서로에게 든든한 버팀목이 되어 주었기에 가능했음을 잘 알고 있습니다.

 다시 한번 진심어린 감사의 마음을 전합니다. 여러분의 신뢰와 성원이 있었기에 우리는 어려운 상황 속에서도 한발 더 나아갈 수 있었습니다. 이 자랑스러운 성과는 군민 여러분 한 분 한 분의 적극적인 참여와 협력이 있었기에 가능했습니다.

  새해는 많은 변화와 도전의 순간들이 있겠지만 금년처럼 군민 여러분과 함께 희망을 공유하면서 자신감으로 도전하고 창의적 협력이 이어진다면 어떠한 어려움도 극복할 수 있을 것으로 굳게 믿고 있습니다. 내년에도 군민 여러분의 성원과 협력을 부탁드립니다. 

  군민 여러분과 더 가까이 소통하면서 단양의 미래를 구체적으로 설계하고 가꾸어 나가겠다는 다짐과 약속의 말씀을 드립니다.

  지난 해 정말 고생 많았습니다. 을사년 새해에도 군민 여러분 가정마다 건강과 행복이 가득하고 모든 소망이 이루어지기를 진심으로 기원합니다. 

  새해 복 많이 받으십시오. 고맙습니다.


2024년 12월 31일

단양군수  김 문 근


2024년 한 해 수고하셨습니다. 송년사

증평군 2025년 신년사

존경하는 증평군민 여러분!

  희망으로 맞이하는 을사년(乙巳年) 새해가 밝았습니다. 

  새해에 힘차게 솟아 오르는 태양의 기운처럼 군민여러분 가정에 건강과 행복이 가득하시고 계획하신 일들이 모두 이루어지는 뜻깊은 해가 되시길 기원합니다.

  아울러, 민선6기 군정 발전을 위해 아낌없는 지지와 성원을 보내주시고 새로운 도약의 길로 나아갈 수 있도록 협조해 주신데 대하여 군민 여러분께 진심으로 감사의 말씀을 드립니다.

  민선6기 출범이후 우리군은 군민중심의 새로운 미래를 위한 산업, 농업, 문화, 체육, 관광 등의 기반을 위한 도약의 기틀을 마련하였습니다. 그 결과 군민여러분들과 약속했던 새로운 미래비전의 청사진들이 하나하나 결실을 맺고 의미있는 성과를 거두고 있습니다. 

  지난해 중점적으로 추진했던 주민들의 불편해소를 위한 다양한 시책들이 호응을 얻고 있으며 올해에도 소통공감 행복증평밴드를 더 활성화하고 생활밀착형 사업을 발굴하여 군민과 함께하는 현장행정, 소통행정을 적극 추진하겠습니다. 

  20분도시와 연계하여 친환경 생활공간 조성과 함께 군민이 체감할 수 있는 스마트 인프라 기반을 구축하고 군민들이 다양한 공공서비스를 누릴 수 있도록 최선을 다하겠습니다. 

  무엇보다도 증평형 아이돌봄을 통해 저출산 위기를 극복하고 출생률과 인구증가의 성과를 거두었으며 올해는 돌봄정책 고도화를 통해 수요자에 맞춘 신속하고 스마트한 아이돌봄서비스를 확대하겠습니다.

  이와 함께 증평형노인복지모델 시범사업과 장애인 돌봄서비스를 통한 증평형 통합돌봄 체계를 구축하였습니다. 앞으로도 맞춤형 통합돌봄서비스를 확대하여 혁신적인 복지서비스를 제공하고 모든 세대가 행복한 지역사회를 만들겠습니다. 

  증평3·4일반산업단지와 공공임대형 지식산업센터 건립, 농촌협약사업과 스마트팜 조성, 복합문화예술회관 건립과 스포츠테마파크 조성사업 등 미래기반을 위한 인프라를 차질없이 추진하겠습니다.

  또한 군민들의 높은 문화수요에 대응하여 문화체육관광부가 후원하는 공연예술유통사업과 지역맞춤형콘텐츠사업을 통해 다양하고 수준높은 문화예술공연을 체험하였으며 앞으로도 문화향유기회를 확대하겠습니다.

  지난해 관내 주요관광지 방문객이 130만명을 돌파하며 매년 관광객이 꾸준이 증가하고 있습니다. 올해도 많은 국내외 관광객이 우리지역을 찾을 수 있도록 증평브랜딩을 강화하고 스마트관광 인프라를 구축하겠습니다. 

  현재 추진 중인 도시재생사업과 농촌협약, 농촌공간정비사업을 연계하여 구도심활성화와 농촌정주여건을 획기적으로 개선하겠습니다. 

  각종 평가에서도 우수한 성과를 거두었습니다. 

국민권익위원회가 발표한 청념체감도 1위, 여성친화도시 가족친화(돌봄)환경조성 분야 국무총리 표창, 농어업·농어촌특별위원회의 ‘농어촌 삶의질 평가’에서 지역활력부문 전국 군단위 1위, 매니페스토 공약이행평가 최우수, 재난관리평가 우수기관 선정, 장애인 복지사업평가 우수기관 선정, 지방자치단체 적극행정 종합평가와 혁신평가 우수기관 선정 등의 성과를 거두었습니다.

  공모사업에서도 농림축산식품부 주관 농촌협약사업에 국·도비 260억원과 국산목재 목조건축 실연사업 85억원, 신동리 농촌공간정비사업 20억원, 국토교통부 스마트도시솔루션 확산사업 16억원을 비롯해 496억원의 국도비를 확보하였습니다.

  이처럼 우리 군이 많은 성과를 거두고 지역의 위상을 높일 수 있었던 것은 군민 모두 하나가 되어 화합하고 군정에 대한 깊은 관심과 성원을 보내주신 위대한 군민이 있어 가능했습니다. 

  존경하는 군민 여러분!

  2025년은 증평의 새로운 미래를 실현하는 희망의 한해가 될 것입니다. 

  제대로 된 증평을 만들기 위한 첫 약속을 잊지 않고

그동안의 기반을 바탕으로 분야별 생태계를 갖춘 경쟁력 있는 증평군을 만들겠습니다.

  스마트한 도시와 특색있는 돌봄환경 조성으로 증평군만의 수준높은 행정을 추진하고, 군민들의 자부심과 증평군의 경쟁력을 굳건하게 자리잡아 나가도록 하겠습니다.

  ‘제구포신(除舊布新)’의 마음으로 묵은 것을 버리고 새로운 변화에 당당히 맞서고 진취적인 자세로 군정을 추진해 나가겠습니다.

  저를 비롯한 490여 공직자는 모든 행정 역량을 결집해 새로운 미래를 위한 경쟁력있는 증평을 만들어 나가겠다고 약속을 드리면서 2025년 군정 운영방향을 말씀드리고자 합니다.

첫째, 증평형 아이돌봄 고도화를 통해

      돌봄정책의 새로운 패러다임을 구축하겠습니다.

  증평형 아이돌봄시스템을 고도화하여 증평만의 특색있는 돌봄사업을 지속 추진하겠습니다. 

  돌봄의 공공성을 더욱 강화하고 한정된 공간, 획일적 돌봄에서 벗어나 다양한 공간에서 창의적인 활동이 이루어지는 선진 돌봄 환경을 지속적으로 조성하겠습니다. 

  2025년 3월 완공예정인 증평형 통합돌봄거점센터 운영 활성화로 분산된 돌봄기관의 거점 모델로 거듭 날 수 있도록 추진하고, 이와 함께 행복돌봄센터 건립 등 촘촘한 돌봄 인프라 확충으로 돌봄공백을 해소해 나가겠습니다.

  돌봄 정보 제공, 돌봄 서비스 플랫폼 운영, 틈새 돌봄, 긴급 돌봄, 공동육아나눔터 운영 등을 통해 부모와 아이가 필요할 때 언제든 안심하고 맡길 수 있는 돌봄 환경을 확충하겠습니다.

둘째, 미래산업기반과 혁신 성장을 위한 

      산업생태계를 구축하겠습니다.

  지역의 전략산업 육성과 우량기업 유치를 통한 지역 경제 활성화와 지속적인 일자리 창출을 위해 노력하겠습니다.

  도안면 송정리 일원의 증평3일반산업단지와 증평읍 용강리 일원의 증평4일반산업단지 조성을 차질없이 추진하여 지역의 균형발전과 함께 주변 산업단지와 연계를 통한 산업클러스터를 구축하겠습니다.

  이와 함께 지역전략산업의 혁신 성장 거점 역할을 할 공공임대형 지식산업센터의 차질없는 추진으로 공공기관과 기업 유치를 통해 탄탄한 산업 생태계를 구축하겠습니다.

  전통시장 시설관리와 편리한 쇼핑지원, 판매 촉진을 위한 행사지원 등으로 전통시장을 활성화하고 소상공인 이차보전금, 소규모 환경 개선 지원, 증평사랑으뜸상품권 발행지원 등 소상공인의 자생력을 높이고 지역 경제 안정에 최선을 다하겠습니다.

셋째, 문화·체육·관광 인프라 구축으로

      '매력있는 문화관광도시'를 조성하겠습니다.

  복합문화예술회관 건립의 조속한 추진으로 공연장, 작은영화관 등 양질의 공연서비스를 제공하고 군립도서관, 김득신문학관, 청소년문화의집과 연계한 문화 타운 조성으로 군민의 문화 향유 기회를 확대하겠습니다. 

  추성산성 문화재 재정비를 통해 역사·문화 정체성을 확립하고 주민들과 함께하는 문화·관광 공간으로 조성하여 증평의 가치를 높이겠습니다.

   증평종합운동장의 준공으로 증평군은 충북도민체육대회를 열지 못했던 지역의 한계를 극복하게 되었습니다. 이와함께 스포츠테마파크를 차질없이 조성하여 주민들의 생활체육을 활성화하고 스포츠마케팅을 통한 전국 규모 스포츠 대회를 유치하여 지역경제를 활성화하겠습니다. 

  또한 좌구산휴양랜드 내 특색있는 휴양시설 확충을 위한 국산목재 호텔 조성사업을 새로운 관광 랜드마크로 조성하고 트리하우스 운영을 차질없이 추진하여 체류형관광이 활성화되도록 노력하겠습니다.

넷째, 기후위기와 철저한 재난 대응으로 

      안전하고 깨끗한 도시환경을 조성하겠습니다.

  최근 들어 자연·사회 환경의 변화로 인해 예기치 않은 재난이 빈번히 발생하고 있습니다. 완벽한 방역체계와 신속한 처리를 위한 매뉴얼 점검과 현장 연계 활동 등 실질적인 대책과 조치를 마련하겠습니다.

  초중지구 풍수해생활권 종합정비사업을 통해 상습 침수지역 정비와 소규모 위험시설 정비, 체계적인 공공시설 관리를 통해 재해를 사전에 예방하고 안전한 정주 여건을 조성하여 군민이 안심할 수 있는 지역을 만들겠습니다.

  재난 취약시설 안전점검, 자연재난 사전대비 안전 대책 마련, 재난안전대책본부 운영을 통해 선제적으로 재난을 예방하겠습니다.

  또한 친환경 탄소중립 도시 조성에도 힘쓰겠습니다. 도심 속 자연친화 환경 조성을 위해 온실가스 감축과 미세먼지 대응, 자원순환 활성화 등 다양한 방법을 강구하여 기후위기 대응을 실천하겠습니다.

다섯째, 전통농업과 미래농업의 균형잡힌 지원으로

        '지속가능한 농업·농촌'을 조성하겠습니다.

  스마트 미래농업 기반과 농업·농촌 활성화를 위해 노력하겠습니다. 스마트팜 조성을 통해 기후위기 고부가가치 특화 작물 산업화와 청년농 유입을 위한 영농정착지원과 창업지원 등 기반마련에 힘쓰겠습니다.

  34플러스센터와 인삼문화센터를 농산물과 문화가 공존하고 군민과 관광객이 즐기고 찾을 수 있는 활력있는 복합문화공간으로 운영하겠습니다.

  또한 농특산물종합유통타운을 차질없이 추진하여 지역농산물의 선순환 체계를 구축하고, 농촌일손더하기 사업을 확대하여 농촌의 인력난 해소를 위해 적극적으로 노력하겠습니다.

  공모 선정된 농촌협약사업을 통해 정주여건을 개선하고 농촌생활권을 활성화하겠습니다. 도안면 기초생활거점과 남차리 농촌공간정비, 추가 선정된 신동리지구 농촌공간정비 사업을 차질없이 추진하겠습니다.

여섯째, 복지사각지대 해소와 맞춤형 복지정책으로 

        생활밀착형 복지를 실천하겠습니다.

  다양한 지역사회 문제나 욕구를 신속하게 파악하고 지역 주민의 적극적 참여를 유도하여 모두가 함께하는 주민 참여형 복지정책을 추진하겠습니다. 

  장애인보호작업장을 건립하여 장애인의 직무능력 향상과 직업재활을 통한 경제적 자립을 지원하고 장애인들을 위한 맞춤형돌봄도 확대하겠습니다.

  증평형 노인통합돌봄의 지속적인 추진·확대와 함께 어르신들이 건강하고 안정적인 삶을 누릴 수 있도록 일자리와 사회활동을 지원하고 유관기관과 연계하여 다양한 프로그램을 운영하도록 하겠습니다.

  국가유공자의 희생과 공헌에 보답하는 예우와 지원으로 보훈 가족과 단체를 보살피고, 모두가 공감하는 보훈 문화를 조성하겠습니다.

  저소득층에 대한 소득안전망을 강화하고 자활사업 등 사회 구성원 모두가 소외되지 않는 탄탄한 사회안전망 구축으로 생활밀착형 복지를 실현하겠습니다.

마지막으로, 새로운 미래 100년을 대비하는 

           내일의 도시를 준비하겠습니다.

  콤팩트시티(compact-city)의 지역특성을 살려 보다 편리한 20분도시의 인프라 확충을 통해 군민불편 해소와 지방소멸에 대응하고 지역성장과 균형발전을 위한 전략사업을 발굴 추진하겠습니다.

공사중단 건축물 9차 선도사업을 통해 도안면 윤모아파트를 재정비하고 원도심 도시기능 강화를 위한 도시재생사업의 차질없는 추진으로 청년임대주택과 청년창업공간을 조성하고 군민들의 공유공간을 확충하겠습니다.

  또한 스마트솔루션 확산사업을 통해 스마트쉼터 등 군민 체감형 스마트 인프라를 조성하고, 스마트 도시계획 수립으로 지속가능한 스마트도시 기반을 마련하겠습니다.  

  이와 함께 군민들의 오랜 숙원사업인 증평역 철도하부 통로박스 보행자도로 개설공사가 추진될 수 있도록 온 힘을 다하겠습니다.

  존경하는 군민 여러분!

  우리는 2025년 새해, 희망의 출발선에 다시 섰습니다. 

  현안사업들을 흔들림 없이 추진하고 내실있는 새로운 정책을 개발해 군민들이 일상에서 성과와 변화를 체감할 수 있도록 최선을 다하겠습니다. 증평형 정책들이 대한민국 지방자치의 롤모델이 되어 국가정책에 반영되도록 고민하고 또 고민하겠습니다.

  군민들께서 주신 사명을 늘 잊지 않고, 위대한 군민여러분과 증평의 새로운 역사를 함께 써 나가겠습니다.

세계화·지방화 시대에 발맞추어 변화와 혁신으로 전환의 시대에 지역의 경쟁력을 강화하고 그 중심에 증평군이 설 수 있도록 최선을 다하겠습니다.

  새로운 미래 증평과 성공적인 군정 운영을 위해 올해도 변함없이 군민 여러분의 지속적인 관심과 성원을 부탁드립니다.

  우리는 함께할 때 더 큰 변화를 이뤄낼 수 있습니다. 저를 비롯한 490여 공직자 모두는 군민의 목소리에 더욱 귀 기울이며 군민과 함께 더 큰 도약을 위해 나아갈 것을 약속드립니다. 

  군민 여러분들과 한마음 한뜻으로 두손을 맞잡고 새로운 미래를 향해 힘차게 달려가겠습니다. 

‘제구포신(除舊布新)’의 마음으로 당당히 앞으로 나아갑시다.

  다시한번 군민 여러분의 관심과 성원에 감사드리며 모두의 꿈과 소망이 이루어지는 희망찬 한 해가 되시기를 기원합니다.  새해 복 많이 받으십시오. 

감사합니다.


2025년 1월 1일

증 평 군 수   이 재 영


진천군, 사통팔달 도로망 구축으로 외연 확장 박차

  진천군이 올 한 해 도시발전의 체계를 구축하는 도로 건설에 집중하며 외연 확장에 박차를 가하고 있다.

  먼저 도로축의 근간이 되는 국도 건설사업인 입장~진천 도로건설공사(국도34호선)와 동면~진천 도로건설공사(국도21호선)가 착공 후 보상 절차를 진행 중에 있다.

  각각 안성 입장면과 진천 백곡면, 천안 동면과 진천 진천읍을 잇는 대규모 사업로 2025년 본격적인 공사를 예정하고 있다.

  국도 개선사업은 3건을 추진 중이다.

  이월면 신월교차로의 램프구간 선형불량과 협소를 해소하기 위해 공사 중인 ‘신월교차로 위험도로 개선공사(국도17호선)’는 곧 준공한다.

  또 교통혼잡과 교통사고 우려를 해소하기 위해 진행 중인 ‘교성리 단구간 확장공사(국도21호선)’와 ‘사석리 회전교차로 설치공사(국도21호선)’는 설계를 완료했으며, 2025년 공사추진이 예정돼 있다.

  군도 개설과 확포장 사업인 ‘궁골~서원 간 군도 개설’과 ‘모치올교 확장공사’는 공사를 마무리했다.

  외곽순환도로 건설의 하나로 추진 중인 ‘진천농공단지~신정교 간 군도 확포장 공사’와 ‘유진철강앞~새반지 교차로 간 군도 확포장 공사’는 2025년 상반기 착공 예정으로, 현재 보상 절차를 진행하고 있다.

  마지막으로 농어촌도로 확포장 사업으로 ‘취적마을 농어촌도로 선형 개량공사’ 외 1건을 준공했으며, ‘영수사 진입로 농어촌도로 확포장 공사’ 외 1건은 2025년 준공 예정이다.

  김재근 건설교통과 주무관은 “심장이 잘 뛰기 위해서는 이를 연결하는 혈관의 역할이 중요하듯 도로망 건설은 지역발전의 핵심 역할을 하고 있다”며 “지속가능성을 품은 생거진천을 위해 사통팔달의 도로망 구축 사업 추진에 최선을 다하겠다”고 말했다.


진천군, 사통팔달 도로망 구축으로 외연 확장 박차

- 입장~진천, 동면~진천 국도 건설 비롯해 군도, 농어촌도로 공사 활발

제천시, 2024년 행안부 재정분석 최우수 지자체 선정

 제천시가 행정안전부에서 평가한 2024년 지방자치단체 재정분석에서 종합등급 최고등급인 ‘가’등급을 달성해 행정안전부장관 기관표창과 함께 1억 원의 특별교부세 인센티브를 확보했다고 지난 27일 밝혔다.

 행정안전부는 지방재정의 건전성과 효율성을 제고하고 지방재정의 책임성을 확보하고자 매년 243개 지방자치단체를 대상으로 인구 및 재정여건에 따라 13개 유형으로 구분하여 건전성, 효율성, 계획성 3개 분야의 14개 주요 재정지표를 비교 분석해 평가하고 있다.

 제천시는 전년도 ‘다’등급에서 올해는 재정건전성 등을 대폭 개선하여 두 단계 상승한‘가’등급을 획득하며, 시-Ⅳ유형 19개 지자체에서 1위로 평가되어 ‘최우수기관’에 선정되는 성과를 거뒀다.

 이번 성과는 내수경기 부진 및 지방교부세 감소 등 어려운 상황에서도 재정위기 대응을 위해 과감한 세출구조조정 및 경상경비 절감, 지방채 무발행 노력과 관리채무증감률 42% 감소 등 재정건전성 부분에서 특히 높은 ‘가’등급으로 우수한 평가를 받은 결과이다.

  김창규 제천시장은 "어려운 재정 여건 속에서도 적극적인 세출구조 조정을 통한 꼼꼼한 예산편성의 결과이며, 앞으로도 시민이 체감할 수 있는 체계적이고 계획적인 재정운용을 위해 더욱 노력하겠다”라고 밝혔다.


제천시, 2024년 행안부 재정분석 최우수 지자체 선정

2025년 1월 종합 BMSI 103.1, 전월대비 8.4p 하락

금융투자협회(회장 서유석)는 27일(금) ‘2025년 1월 채권시장지표’를 발표했다.

’25년 1월 채권시장 지표 (BMSI : Bond Market Survey Index)

 구 분               내 역

 종합 BMSI        103.1 (전월대비 8.4p 하락)

 금리전망 BMSI   92.0 (전월대비 20.0p 하락)

 물가 BMSI        85.0 (전월대비 12.0p 상승)

 환율 BMSI        66.0 (전월대비 44.0p 하락)

 ※ BMSI는 설문문항에 대한 답변인원의 응답으로 산출하며, 100이상이면 채권가격이 상승(금리 하락)할 것으로 기대하며 채권시장 심리가 양호함을 의미. 반대로 100이하일 경우 채권시장의 심리가 위축되어 있음을 의미

 * 조사기간은 2024.12.18 ∼ 2024.12.23이며, 채권보유 및 운용관련 종사자(207개 기관, 962명)를 대상으로 설문한 결과 58개 기관 100명이 응답함. 

 * 업무별로는 발행(채권발행자) 1명, 운용(펀드매니저, 트레이더 등) 25명, 중개(브로커, IB업무자 등) 6명, 분석(애널리스트, 이코노미스트, RM업무자 등) 31명, 기타 37명이 설문에 참여

(종합 BMSI) ‘24.12.18~24.12.23일간의 조사에서 ’25.1월 종합 BMSI는 103.1(전월 111.5)으로 전월대비 8.4p 하락했다. 최근 원달러 환율이 상승하고 2025년 美연준 금리인하 횟수 축소 전망 이후 채권금리가 상승하며 ’25.1월 채권시장 심리는 전월대비 악화된 것으로 조사됐다.

(금리전망 BMSI) 92.0(전월 112.0)으로 시장금리 관련 채권시장 심리는 전월대비 악화된 것으로 조사됐다.

12월 美 FOMC에서 내년도 예상 기준금리 인하 횟수를 4회에서 2회로 축소한다는 전망으로 1월 금리상승 응답자가 전월대비 증가한 것으로 나타났다.

  - 응답자의 60%(전월 64%)가 금리보합에 응답하였고 금리상승 응답자 비율은 24%(전월 12%)로 전월대비 12%p 상승, 금리하락 응답자 비율은 16%(전월 24%)로 전월대비 8%p 하락한 것으로 나타났다.

(물가 BMSI) 85.0(전월 73.0)으로 물가 관련 채권시장 심리는 전월 대비 호전된 것으로 조사됐다.

고환율로 인한 수입물가 상승 우려로 물가상승 압력이 존재하는 상황이지만, 소비자물가상승률이 1%대(10월 1.3%, 11월 1.5%)를 유지하며 물가안정 기조가 이어질 것이라는 기대에 물가하락 응답자가 증가한 것으로 나타났다.

  - 물가상승 응답자 비율은 32%(전월 30%)로 전월대비 소폭 상승하였고, 물가하락 응답자 비율은 17%(전월 3%)로 전월대비 14%p 상승한 것으로 나타났다.

(환율 BMSI) 66.0(전월 110.0)으로 환율 관련 채권시장 심리는 전월대비 악화된 것으로 조사됐다.

美 연준의 매파적 금리인하 기조 등으로 인한 달러 강세 요인과 국내 정치적 불확실성으로 인한 원화 약세 요인이 더해져 1월 환율상승 응답자가 전월대비 증가한 것으로 나타났다.

  - 환율상승 응답자는 39%(전월 21%)로 전월대비 18%p 상승하였고, 환율하락 응답자는 5%(전월 31%)로 전월대비 26%p 하락한 것으로 나타났다.

.

20251월 종합 BMSI 103.1, 전월대비 8.4p 하락


     [그림. 종합 BMSI 추이]

종합 BMSI

□ ‘24.12.18~’24.12.23의 조사에서 1월 종합 BMSI는 103.1(전월 111.5)으로 채권시장 심리는 전월대비 악화된 것으로 나타남

 ㅇ 종합 BMSI는 개별 설문문항(10개)에 대한 누적답변인원(1,000명)의 응답(호전 222명, 악화 191명, 보합 587명)을 기초로 산출

   ※ 종합BMSI는 10개의 각 설문 문항에 대해 하락 응답자 수의 합 = 호전, 상승 응답자 수의 합 = 악화로 산출하며, 전체 응답자 수 = 설문응답자 수(100)문항 수(10)로 계산

   ※ BMSI 산출방식

      BMSI = [(호전-악화)/(전체 응답자수)]100 + 100

      호전 = 채권시장이 강해질 것(금리하락)이라고 답변한 응답자 수

      악화 = 채권시장이 약해질 것(금리상승)이라고 답변한 응답자 수

    ※ BMSI(0≤BMSI≤200)의 의미

      BMSI      170이상   100이상   100    100이하   30이하

     결과분석   과열       호전        보합   악화       패닉


진천군 송년사, 신년사

정국의 불안정은

서민경제의 어려움을 가중시키고 있습니다.


그러나‘희망은 밝고 환한 양초 불빛처럼 우리 인생의 행로를 장식하고 용기를 준다’는 올리버 골드스미스의 명언처럼,

우리는 지난 1년간 어려운 여건 속에 

군민들과 함께 반드시 해낼 수 있다는 믿음으로

군민 행복을 위한 주요 사업들을 세심하게 추진했고

희망의 길을 만들어 나갔습니다.


친애하는 9만 군민 여러분!


군민의 행복을 실현하고 지역의 번영을 이끌어가는 것은

지방자치단체 존재의 가장 기본적인 이유입니다.

올 한 해 그 기본을 지키기 위해

우리군은 많은 노력을 기울였고

지역발전에 있어 눈부신 변화들을 일궈냈습니다.


수도권 일극화와 저출산·고령화 심화에 따른

지방소멸의 위기가 짙어지고 있는 상황 속에서

올해 우리군이 각 분야에서 올린 성과는

지방이 나아가야 할 발전의 이정표가 되고 있습니다.

기업하기 좋고, 일하기 좋은 경제도시로 당당히 부상했습니다.


우리군은 지역발전 선순환 구조를 구축해

지역의 경제성장 기반을 견고히 다지고

적극적인 우량기업 투자유치와 양질의 일자리 창출을

최우선 과제로 삼고 추진해 왔습니다.


한화솔루션, CJ제일제당, 현대모비스, 에코프로HN을 비롯한

우량기업의 유치와 본격 운영은 

눈에 띄는 고용 창출 효과로 이어졌습니다.


올해 상반기 역대 최고인 72.9%의 고용률 달성과

경제활동인구 5만명 이상 시군 중 1위 등

고용 분야에 있어 눈부신 기록 달성하였으며,


특히 상용근로자 비율은 무려 82.6%로 

충북 도내에서 압도적 1위를 차지하며

우리군이 전국 최고의 고용 기반을 갖춘 도시로

자리매김하고 있음을 증명했습니다.


탄탄한 지역경제 기반은 지역내총생산의 확대로 이어져 

8조 1천억원에 달하는 GRDP를 기록하였습니다.

우리군의 인구와 면적은 충청북도의 5% 내외에 불과하지만

GRDP 비율은 충청북도 전체의 10.8%로 

인구와 면적 대비 2배가 넘는 규모입니다.

이는 우리군의 높아진 경쟁력을 확인할 수 있는 척도입니다.


무엇보다 전국 최고 수준인 1인당 GRDP 9,024만원은

고부가가치 기업의 입주가 지속하고 있다는 방증으로

지역 경제성장에 있어 긍정적인 요소입니다.


특히 9년 연속 투자유치 1조원대 달성과

누적 투자유치액 13조 3,500억원이라는 금자탑은 

지금까지 우리군이 펼쳐왔던 적극적인 투자유치 활동 노력과

전략적인 경제 정책이 체계적으로 작용된 결실입니다.



진천군은 지방발전의 새로운 역사를 써내려 가고 있습니다.


우리군은 올 한 해를 마무리하는 오늘,

18년 연속 인구 증가라는 대기록을 확정하며

지방발전의 새로운 역사를 다시 한번 작성했습니다.

인구의 증가는 군정 어느 한 분야의

성과 창출에 기인한 결과가 아닙니다.


지역경제 강화, 일자리 확대, 주택 공급,

정주여건 개선, 교육 인프라 확대 등

여러 요소가 복합적으로 작용된 결과입니다.


이처럼 우리군이 달성한 18년 연속 인구 증가는

지역의 발전세를 한눈에 확인할 수 있는

가장 상징적인 기록입니다.


2007년부터 이어진 18년 연속 인구 증가 기록은

비수도권 군 단위 지자체 중 유일한 기록입니다.


이 기간 동안 우리군 인구는 무려 2만 6천명, 약 43%가 증가했으며,

특히 제가 군수로 취임한 2016년부터 현재까지 1만 8천명,

약 27%에 달하는 인구가 비약적으로 증가하며 

진천군을 넘어 충청북도 전체 인구 증가를 이끌고 있습니다.


지방소멸이 국가적인 문제로 대두되고

더욱 가속화되는 현실 속에서

우리군의 인구증가는 지방소멸 시대에

지방이 나아가야 할 본보기가 되고 있습니다.

다만, 우리군의 인구증가세와는 별개로

저출산·고령화 현상, 인구구조의 급변 등

더욱 심화되고 있는 인구 문제를 근본적인 관점에서

해결해야 하는 과제가 남아있습니다.


앞으로도 금년도 하반기 조직개편을 통해 신설된

인구정책과를 중심으로 전략적인 인구정책을 추진해

인구 문제를 더욱 체계적으로 극복해 나가겠습니다.



지속가능한 도시성장을 위해 균형성 갖춘 군정을 추진했습니다.


도시의 지속가능한 성장을 위해서는 

균형성을 갖춘 군정은 반드시 필요합니다. 


도시의 균형발전과 소외되는 이웃 없는 포용복지 실현,

현재와 미래세대가 공존하는 ESG 철학의 선제적 군정 도입 등

경제성장과 도시 인프라 확충 뿐만 아니라

여러 영역에 걸쳐 지역발전의 방향성과 가치를

균형있게 실현하기 위해 많은 노력을 기울였습니다.

상대적으로 부족했던 문화, 관광, 체육 분야에 대한 성과들은

올 한 해 균형성 있는 군정의 값진 결과물입니다.


도내 군단위 최초로 창단한 군립교향악단은

군민들의 지친 일상에 풍요로움을 선사해 주었습니다.


K-스토리창작클러스터와 혁신도시 복합혁신센터 등

문화·예술 인프라를 확충하는 한편,


무주탑 국내 최장 출렁다리인 미르309 개통과

농다리와 초평호를 중심으로 한 관광개발 사업의 성공적 추진을 바탕으로 우리군은 그간 관광 불모지의 오명을 털고

‘진천군 170만 관광 시대’를 맞이하였습니다.


이와 함께 종합스포츠타운 다목적체육관,

문백 체육시설 확충사업 등 체육인프라도 차질없이 완료되며

군민들이 건강하고 활기차게 일상을 누리실 수 있도록

생활체육 저변 확대를 위한 기반 마련에 최선을 다했습니다.


무엇보다 17년만에 우리군에서 열린

제63회 충북도민체전 성공 개최와 종합우승의 쾌거는

스포츠 강군으로 입지를 다진 계기이자,

군민들께 있어

‘역시 진천이 하면 다르다’‘우리군이 하면 할 수 있다’는 자긍심과 자신감까지 얻은 소중한 계기로 그 의미가 큽니다.



사랑하는 900여 공직자 여러분!


올 한 해 어렵고 힘든 일이 많았지만

군정의 모든 분야에서 우수한 성과를 창출한 것은

위기 속에 더욱 강한 저력과 긍지를 보여 준

우리군 모든 공직자 여러분의 덕분입니다.


이러한 눈부신 성과를 창출해 준 것에 대해

9만 진천군민을 대표해 감사의 말씀을 드립니다. 

앞으로도 모든 공직자가 혼연일체하여

진천의 새로운 변화를 만들어 나갑시다.


존경하는 9만 군민 여러분! 그리고 공직자 여러분!


2025년은 민선8기 3년차로 접어드는 해로써

군민 삶의 질 향상을 위한 실질적인 성과 창출을

도모해야 하는 매우 중요한 시기입니다.


지방자치단체 존립의 목적인 주민 삶의 질 향상을 위해

속도감 있는 성과 창출에 더욱 주력해 나가는 한편,


민선8기 후반기 발전 전략인

「지역발전 3.0」의 내실 있는 실행을 통해

우리군이 지금까지 일궈온 양적 성장의 토대 위에 

자립적·내생적·질적 측면에서

지역의 지속가능한 발전을 이끌어 가야합니다.


그러나 다가오는 2025년은

시시각각 변화하는 대내·외 정책 여건,

국세 세수 결손에 따른 정부의 건전재정 운용 기조 등

지방자치단체에 있어서는

매우 힘든 시기가 될 것으로 예상됩니다.


무엇보다 불안정한 국내 정세 속,

서민경제와 민생 안정을 최우선 목표로 

한 치의 흔들림 없는 군정을 추진해 가야 한다는

커다란 과제가 남아있습니다.


하지만 위기의 순간마다 우리군은 

군민 여러분들의 적극적인 지지와 성원으로

역경과 어려움을 슬기롭게 극복해 왔고,

지역발전에 있어 의미 있는 성과들을 일궈왔습니다.


위기 속에 더욱 강한 저력과 긍지를 보여 준

우리 진천군의‘위기극복 DNA’를 발판으로

지역발전을 위해 다시 힘차게 뛰겠습니다.


힘찬 도약의 해인 을사년(乙巳年)이

서서히 밝아오고 있습니다.


내년도 우리군의 군정철학을 담은

사자휘호는 광휘일신(光輝日新)으로 정했습니다.


‘빛은 환하게 빛나며 항상 새롭게 변한다’라는 뜻으로

새로운 모습으로 바뀌기 위해서는

강건하고 착실한 준비로 힘을 축적하여

늘 새로운 모습으로 변화해 가겠다는 의지를 담았습니다.


앞으로도 미래 변화에 대한 의지와 혜안을 갖고 

기본에 충실한 군정 운영에 더욱 집중해 나가겠습니다.


지는 갑진년(甲辰年)을 뒤로 하고

밝아오는 을사년(乙巳年) 새해에는 더욱 건강하시고

가정에 사랑과 행복이 가득하시기를 진심으로 기원합니다.


감사합니다.


2024년 12월 31일

진천군수  송 기 섭 드림


 

진천군 송년사, 신년사 

새 창으로 메일 보기

SK하이닉스가 AI 데이터센터용 고용량 SSD(Solid State Drive) 제품인 ‘PS1012 U.2*’(이하 PS1012) 개발을 완료

SK하이닉스가 AI 데이터센터용 고용량 SSD(Solid State Drive) 제품인 ‘PS1012 U.2*’(이하 PS1012) 개발을 완료했다고 18일 밝혔다.

* U.2: SSD의 형태를 칭하는 폼팩터(FormFactor)의 일종으로 2.5인치 크기의 SSD로 주로 서버나 고성능 워크스테이션(Workstation)에서 사용됨. 대용량 저장과 높은 내구성이 특징

SK하이닉스는 "AI 시대의 본격화로 고성능 기업용 SSD(eSSD, enterprise SSD)의 수요가 급격히 늘고 있고, 이를 고용량으로 구현할 수 있는 QLC* 기술이 업계 표준으로 자리 잡고 있다"며, "이런 흐름에 맞춰 당사는 이 기술을 적용한 61TB(테라바이트) 제품을 개발해 시장에 선보이게 됐다"고 설명했다.

* 낸드플래시는 한 개의 셀(Cell)에 몇 개의 정보(비트 단위)를 저장하느냐에 따라 SLC(Single Level Cell, 1개)-MLC(Multi Level Cell, 2개)-TLC(Triple Level Cell, 3개)-QLC(Quadruple Level Cell, 4개)-PLC(Penta Level Cell, 5개) 등으로 규격이 나뉨. 정보 저장량이 늘어날수록 같은 면적에 더 많은 데이터를 저장할 수 있음

앞서 SK하이닉스는 QLC 기반 eSSD를 세계 최초로 상용화한 자회사 솔리다임(Solidigm)을 중심으로 AI 데이터센터용 SSD 시장을 이끌어 왔다. 회사는 PS1012의 개발로 균형잡힌 SSD 포트폴리오를 구축하게 되어 양사간 시너지를 극대화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하고 있다.

PS1012는 최신 PCIe* 5세대(Gen5)를 적용해 4세대 기반 제품 보다 대역폭이 2배로 확대됐다. 이에 따라 데이터 전송 속도는 32GT/s**(초당 기가트랜스퍼)에 달하며, 순차 읽기 성능은 이전 규격 제품 대비 2배 수준인 13GB/s(초당 기가바이트)다.

* PCIe(Peripheral Component Interconnect express): 디지털 기기의 메인보드에서 사용하는 직렬 구조의 고속 입출력 인터페이스

** GT/s(Giga-Transfers per second): 초당 전송(Transfer)되는 동작(Operation) 또는 정보의 수

또, 회사는 이 제품이 OCP* 2.0 버전을 지원할 수 있도록 개발해 글로벌 AI 고객들의 여러 데이터센터 서버 장치와 호환성을 높였다.

* OCP(Open Compute Project): 전 세계 데이터센터 관련 주요 기업들이 참여해 초고효율 데이터센터 구축을 위한 하드웨어, 소프트웨어 및 eSSD의 표준을 논의하는 국제 협의체

회사는 이번 신제품 샘플을 연내 글로벌 서버 제조사에 공급해 제품 평가를 진행하고, 이를 바탕으로 내년 3분기에는 제품군을 122TB까지 확대할 계획이다. 아울러 eSSD의 용량 한계를 극복하기 위해 지난 11월 개발한 세계 최고층 321단 4D 낸드 기반 244TB 제품 개발도 함께 진행해 초고용량 데이터센터용 SSD 시장을 선도해 나간다는 방침이다.

SK하이닉스 안현 개발총괄(CDO, Chief Development Officer) 사장은 “당사와 솔리다임은 QLC 기반 고용량 SSD 라인업을 강화해 AI 낸드 솔루션 분야 기술 리더십을 확고히 하고 있다”며, "앞으로 당사는 eSSD 분야에서의 높은 경쟁력을 바탕으로 AI 데이터센터 고객들의 다양한 니즈(Needs)를 충족시켜, 풀스택(Full Stack) AI 메모리 프로바이더(Provider)로 도약하기 위한 성장 기반을 다지겠다"고 말했다.


 

SK하이닉스가 AI 데이터센터용 고용량 SSD(Solid State Drive) 제품인 ‘PS1012 U.2*’(이하 PS1012) 개발을 완료

제2회 에코프로 젊은 과학자상 연세대 이홍경·UNIST 심교승 교수 수상

에코프로가 전도유망한 젊은 과학자를 발굴하고 연구 성과를 장려하기 위한 ‘에코프로 젊은 과학자상(EYSA : Ecopro Young Scientist Awards)’ 시상식을 열었다.

에코프로는 18일 포항캠퍼스에서 제2회 에코프로 젊은 과학자상 시상식을 열고 에너지 분야 연세대학교 신소재공학과 이홍경 교수, 환경 분야 울산과학기술원(UNIST) 화학과 심교승 교수를 각각 선정했다고 밝혔다.

에코프로 젊은 과학자상은 에너지와 환경, 두 분야에서 뛰어난 연구 성과를 낸 젊은 교수들을 발굴하고 지원하기 위해 에코프로가 지난해 제정한 상이다. 올해 젊은 과학자상에는 총 32명의 과학자가 지원했다.  

에코프로는 논문, 학술상, 특허 등록 건수, 기술 이전 내역 등을 점수화한 업적 평가와 논문의 우수성, 인류의 기술 발전 기여도 등을 평가한 기술 평가를 통해 수상자를 선정했다. 수상자에게는 상패와 2000만 원의 상금이 각각 수여됐다.

에너지 분야 수상자로 선정된 이 교수는 차세대 배터리 재료 및 응용기술 개발, 리튬 메탈 음극 관련 연구 성과를 높이 평가받았다. 환경 분야 수상자인 심 교수는 완전한 재활용이 가능한 웨어러블 디바이스 소자 및 기기 기술을 연구해 네이처 일렉트로닉스(Nature Electronics : 전자 분야 상위 1% 저널)에 1인 교신저자(corresponding author : 학술지 편집자 또는 다른 연구자들과 연락을 취할 수 있는 저자)로 등록된 공로를 인정받았다.

이 교수는 "차세대 리튬 전지의 지능화, 지속가능화에 대한 연구를 꾸준히 해왔는데 국내 대표 이차전지 소재 기업인 에코프로가 주관하는 상을 받아 영예스럽다"고 말했다. 심 교수는 "재활용 웨어러블 소자를 연구한 지 2년 만에 유의미한 성과를 거둬서 기쁘고 이번 수상을 계기로 앞으로 재활용 연구와 관련해 더욱 정진할 계획"이라는 수상 소감을 밝혔다.

송호준 에코프로 대표는 “에코프로 젊은 과학자상이 친환경, 이차전지 산업 발전을 위한 산학 협력과 함께 인류의 삶을 발전시키고 도움이 될 연구 성과를 발굴하는 데 도움이 되기를 바란다”고 말했다.

에코프로는 이날 젊은 과학자상 시상식과 함께 사내 임직원들을 대상으로 한 ‘제9회 혁신경진대회’도 개최했다. 올해 혁신경진대회에서는 제조/사무 부문 중심에서 비용 절감 등 혁신을 이끌어 낸 임직원들의 성과를 격려했다.

이번 혁신경진대회 본선에서는 총 8개의 과제가 발표됐으며 원가절감을 통한 제조경쟁력 확보 방안 과제 등이 우수한 평가를 받았다.

에코프로 관계자는 "에코프로는 1998년 창립 이후 무수히 많은 실패를 용인하고 이를 자산화하면서 성장했다"며 "혁신경진대회는 이 같은 도전과 혁신의 그룹 DNA를 계승하고 확산시키기 위한 목적으로 연구 및 제조/사무 부문으로 나눠 격년으로 시행하고 있다"고 밝혔다.  



제2회 에코프로 젊은 과학자상 연세대 이홍경·UNIST 심교승 교수 수상


제천역~부전역까지, 이제 부산에서 KTX 타고 제천온다

  서울역에서 제천역을 거쳐 부전역(부산)까지 연결하는 KTX 중앙선 고속철도의 완전한 개통으로 제천시를 관통하는 ‘중부내륙 고속철도 新 르네상스 시대’가 눈앞에 다가왔다.

  12월 20일 완전개통된 중앙선은 서울~제천~부산까지 약 332㎞의 중부내륙을 간통하는 간선철도이자, 경부선에 이어 1939년 두 번째로 개통한 남북축 철도망이다. 

 이번 중앙선 개통으로 기존의 느린 단설 철도가 완전히 복선화되고 서울에서 출발하는 KTX-이음(설계속도 260㎞) 편도 9회 중 3회가 부산까지 운행하게 되며, 제천에서 부산까지 2시간대로 교통 접근성이 대폭 개선되어 내륙관광 일일생활권으로 연결된다.

 또한, 중앙선의 중간지점인 제천시는 영동지역과 경북 북부, 중부내륙을 가로지르는 교통의 요충지로, 서울에서 출발해 제천 기준 동쪽으로는 삼척, 서쪽으로는 대전, 남쪽으로는 부산까지 갈 수 있는 교통허브 역할을 하게 될 것으로 전망된다.

  시는 KTX 중앙선 완전개통으로 관광산업 및 지역경제 활성화를 위한 자체 전략사업 발굴 등 종합계획을 수립하여 즉시 대응에 나섰으며, 다양한 관광상품 개발, 기업유치, 전략적 홍보 등 획기적인 사업을 발굴해 본격적인 경제 활성화 빌드업을 시작할 예정이다. 

 시 관계자는 “중앙선 완전개통으로 제천역 新 르네상스를 열고, 관광시설 확충 및 다양한 관광상품 개발 등으로 수도권뿐만 아니라 동남권 관광객 유치에 총력을 다해 중부내륙의 핵심 거점도시로 거듭날 수 있도록 노력하겠다”라고 전했다.

 시는 현재 중앙선뿐 아니라 현재 실시설계 중인 충북선 고속화 사업과 제5차 국가철도망계획에 건의한 태백영동선 고속화 사업도 충북도와 강원도와 함께 반영되도록 노력 중에 있으며, 이에 따라 철도교통 중심도시 제천의 위상은 갈수록 높아질 전망이다.

  김창규 시장은 “제천에서 부산까지 2시간대로 갈 수 있는 중앙선 완전개통은 제천을 한층 업그레이드시킬 수 있는 좋은 계기”라며 “다양한 관광상품 개발, 전국 규모 체육대회 유치 및 투자유치 등 다양한 시책 발굴과 추진으로 인구감소지역 위기를 벗어나겠다”라고 말했다.

 한편, 중앙선 철도는 1941년에 개통되자 제천역은 중앙선과 태백선, 충북선이 교차하면서 80년간 철도교통의 요충지로 명성을 떨쳤으며, 1960~1970년대에는 석탄, 시멘트 등 기간산업 물류 수송량의 70% 정도까지 담당하기도 했다.​


제천역~부전역까지, 이제 부산에서 KTX 타고 제천온다

괴산군의회, 제336회 정례회 폐회

충북 괴산군의회(의장 김낙영)가 이달 20일 열린 제11차 본회의를 끝으로 제336회 정례회를 마무리했다. 

이번 정례회에서는 2025년도 예산 5,015억 원을 확정하고 군정 질문과 예산 심의를 통해 지역 발전을 위한 다양한 의제를 다뤘다.

예산결산특별위원회는 12월 4일부터 17일까지 진행된 심사에서 2024년 제3회 추가경정예산안, 2025년 예산안, 기금운용계획안을 심도 있게 검토했다.

부서별 사업 계획의 타당성과 예산 배분의 적절성을 면밀히 점검하며, 기타보상금과 사회복지 현금성 지원 확대와 같은 재정 효율성 이슈를 지적했다.

김주성 예산결산특별위원장은 “국가적 재정 긴축과 복지 수요 증가 상황에서 사업의 중요도와 긴급성에 따른 예산 배정이 중요하다”며, “지역경제 활성화와 약자복지 강화를 위해 예산을 더욱 효율적으로 운영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의회는 이번 정례회에서 의원 발의 조례 4건과 군수 제출 조례 25건을 포함한 총 29개의 조례안을 처리했다.

주요 조례로는 ‘괴산군 청소년 바름나무 바우처 지원 조례안’과 ‘괴산군 통합재정안정화 기금 설치 및 운용 조례 일부개정조례안’ 등이 있다.

또한, 2024년 주요 건설사업장 현지 조사 결과보고서를 의결하고, 달천 홍수 방지를 위한 하천 정비공사의 조속한 시행을 촉구하는 건의문을 채택해 환경부에 전달했다.

김낙영 의장은 “군정 현안과 예산 편성 및 집행의 적법성・타당성을 점검하고 대안을 제시하는 등, 의회의 견제・감시 역할을 충실히 수행했다”고 평가했다.

괴산군의회는 30일 제337회 임시회를 끝으로 2024년 일정을 마치며, 새해 1월 16일 제338회 임시회를 열고 2025년 일정을 시작할 계획이다.


괴산군의회, 336회 정례회 폐회

단양군, ‘관광형 스마트팜카페 조성’ 속도 낸다

충북 단양군이 도담삼봉 인근(매포읍 하괴리 산 21-8번 일원)에 농업과 관광을 융합한 전국 최초의 관광형 스마트팜카페 조성사업을 속도감 있게 추진하고 있다.

이 사업은 도담 별빛식물원(70억 원), 관광형 스마트팜카페(40억 원), 실감미디어 전시공간 구축(40억 원) 등 3개 사업을 연계해 총 150억 원이 투입될 예정이다.

주요 시설은 메인 가든 2,300㎡, 미디어 가든 500㎡, 스마트팜 및 카페 600㎡, 기타 공용공간 등 총 3,800㎡ 면적으로 조성된다.

군은 실시설계 업체를 제안공모 방식으로 선정해 전문성을 확보하고 단양군의 특색을 반영한다는 계획이다. 12월 19일 선금 7억 원도 집행해 사업비 집행률도 제고하고 있다.

또 지방재정투자심사, 공유재산관리계획, 하천점용허가 등 행정절차를 마치고, 에코순환루트 연계사업을 적극 활용해 토목 공사 기간을 단축하는 등 효율적인 사업비 활용을 극대화하고 있다.

실내에는 식물원과 스마트팜카페가 조성돼 볼거리와 체험 공간의 역할을 할 예정이며 외부에는 매포생태체육공원을 활용해 다채로운 생태 식물이 식새된 특색있는 정원으로 조성할 계획이다.

현재 사업부지 내 잔목 제거, 성토 작업을 진행하고 있으며 군은 내년 상반기 중 기반 공사를 마무리하고 실시설계가 완료되면, 신속한 착공이 가능하도록 박차를 가하고 있다.

군이 야심 차게 추진하는 관광형 스마트팜카페는 세계 각국에서 발생하는 기상이변에 따라 미래 농업 대응을 위해 주목받고 있는 스마트팜과 ‘대한민국 내륙관광 1번지’라는 단양군의 장점을 접목했다.

특히 소각장 폐열을 활용한 별빛식물원 조성 사업과 중앙선 폐철도 부지를 활용한 에코순환루트 사업은 환경친화적인 업사이클링 방식으로 주목을 받고 있다.

게다가 기존 스마트팜의 장점인 양질의 재배 환경과 작업의 편리성을 한 단계 더 발전시켜, 농업관광을 통한 고수익 창출 모델로도 기대된다.

군은 수직농장에서 재배되는 농작물의 유통과 판매 방안도 마련하고, 카페에서는 지역 농산물을 활용한 건강한 음료와 음식을 제공해 관광객들에게 농업게 연계된 새로운 체험을 선사할 예정이다.

군 관계자는 “전국에서 처음으로 추진하는 관광형 스마트팜카페 조성사업은 사계절 관광자원 개발뿐만 아니라 농업, 관광, 재생 키워드를 연계한 3개 사업 동시 신속 추진으로 시너지 효과를 극대화 할 것”이라며 “이를 통해 농업혁신과 지역 상생의 새로운 모델로 선도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한다”고 밝혔다.

단양군의 관광형 스마트팜카페는 새로운 관광콘텐츠로 관광객 유치뿐만 아니라, 농업관광의 새로운 모델을 제시하는 대한민국 1호 관광형 스마트팜카페가 될 것으로 기대를 모으고 있다.


단양군, ‘관광형 스마트팜카페 조성속도 낸다

심사평가원, 바레인 보건최고위원회 대상 건강보험 연수 개최

 건강보험심사평가원(원장 강중구, 이하 심사평가원)은 12월 10일부터 9일간 바레인 보건최고위원회(Supreme Council of Health) 임직원을 대상으로 디지털헬스케어 연수과정을 진행한다.

 심사평가원은 2017년 건강보험정보시스템 바레인 수출 계약을 체결한 후 2019년 구축을 완료했고, 2020년부터 2024년까지 5년 간 시스템 유지관리 프로젝트를 성공적으로 수행했다.

 이번 연수과정은 프로젝트 종료 이후에도 상호 협력을 유지함으로써 그간 구축해 온 국가 간 신뢰관계를 강화하기 위해 마련됐다.

 아울러 심사평가원의 건강보험 정보화 지식·경험을 전파함으로써 바레인 시스템의 안정적인 운영을 지원하는 한편, 한국의 디지털헬스케어 사례를 소개하여 새로운 사업 기회를 모색하기 위해 추진됐다.

  연수 대상자는 바레인의 국가 건강보험 정책을 총괄하는 보건최고위원회의보건의료전문가들로, ▲요양급여비용 심사 및 평가 ▲건강보험 빅데이터 관리 및 분석 ▲의약품 정보 활용과 유통관리 ▲ AI·클라우드를 활용한 디지털헬스케어 등의 주제로 구성된 연수 과정에 참가한다.

 심사평가원 정설희 국제협력단장은 “심사평가원은 바레인의 더 나은 건강보험 제도를 구축하고 발전시키기 위해 지속적으로 협력 프로그램을 진행할 계획이며, 이를 통해 다양한 분야에서 협력 및 사업 범위를 확장할 수 있는 계기가 되기를 기대한다”라고 전했다.


 

심사평가원, 바레인 보건최고위원회 대상 건강보험 연수 개최

‘SOL 조선TOP3 플러스’ 순자산 4,000억원 돌파

신한자산운용 ‘SOL 조선 TOP3 플러스’ ETF(종목코드: 466920)의 순자산이 4,000억원을 돌파했다. 국내 조선산업의 실적호조와 함께 미국 트럼프 대통령 당선자의 발언에 따른 협력 기대감 등 호재가 부각되며 지난해 말 162억원에 불과했던 순자산이 1년 사이에 급격히 증가했다. 

연초 이후 꾸준히 개인투자자와 기관투자자 모두의 관심을 받은 가운데 특히 개인투자자가 SOL 조선TOP3플러스를 집중 매수한 것으로 나타났다. 최근 1개월, 3개월, 6개월 개인순매수 금액은 각각 349억, 246억, 1,056억원을 기록했으며 최근 1년 개인투자자 순매수 금액 1,748억원은 국내 주식형 ETF 중 1위다. (12/11 Dataguide 기준, 레버리지/인버스 제외)

조선산업의 호조와 함께 ETF 성과 역시 시장을 압도했다. 최근 1개월, 3개월, 6개월 그리고 연초 이후 수익률은 각각 1.76%, 21.31%, 35.18%, 47.13%로 전 구간에서 올 한해 고전을 면치 못한 코스피 상승률(-3.52%, -2.82%, -9.71%, -8.01%)을 앞섰다.  

신한자산운용 김정현 ETF사업본부장은 “조선주는 현재 시장에서 인정받는 대표 실적주로서 조선섹터는 올해 조정 이후 강하게 반등하는 경우가 많았는데, 이번에도 SOL 조선TOP3플러스는 최근 큰 폭의 시장 하락 이후 3거래일 만에 10% 이상 상승했다.” 며 “국내 조선산업은 상승사이클을 지속하고 있는 가운데 트럼프 미 대통령 당선 이후 대표 수혜산업으로 부각되고 있어 시장의 하락구간에서도 꾸준히 관심을 가져야 할 필요가 있다.” 고 말했다. 

SOL 조선 TOP3 플러스 ETF는 국내 조선산업에 집중 투자할 수 있는 ETF로 3대 조선사인 HD한국조선해양, 삼성중공업, 한화오션을 포함하여 HD현대미포, HD현대중공업 등 조선사 비중이 80% 이상이고, 그 외 HD현대마린솔루션, 한화엔진, 한국카본, HD현대마린엔진, 동성화인텍, 태광, 하이록코리아, 세진중공업 등 기자재 기업을 포함하여 총 13종목에 투자 한다.

김 본부장은 “트럼프 당선 이후 주요 투자포인트로 국내 조선사들의 북미LNGC 수주, 미함정 MRO(유지, 보수, 운영) 사업 및 글로벌 함정 프로젝트 수주, 중국 조선업 제재에 따른 반사이익 등을 주목할 수 있다.” 며, “2025년에도 조선은 투자 포트폴리오에 꼭 담아가야 하는 중요한 섹터이며 개별 종목의 변동성이 부담되는 투자자는 ETF를 활용하는 것을 추천한다.”고 강조했다.



 SOL 조선TOP3 플러스 순자산 4,000억원 돌파

 

- 최근 1년 개인순매수 1,748억원, 국내 주식형 ETF 전체 1 (레버리지/인버스 제외)

- 연초 이후 수익률 47.13%, 코스피 상승률 전구간 크게 앞서


 



[국내주식형 ETF 연초 이후 개인순매수(레버리지/인버스 제외)]

 

ETF

운용사

AUM(억원)

연초 이후

개인순매수(억원)

1

SOL 조선 TOP3 플러스

신한

4,112

1,748

2

KODEX 200

삼성

55,321

1,320

3

PLUS 고배당주

한화

4,472

1,063

4

KODEX 150

삼성

12,087

1.050

5

KODEX 2차전지산업

삼성

9,353

1,048

(12/11기준, Dataguide)

 

[SOL 조선TOP3플러스 수익률]

ETF

1개월

3개월

6개월

1

연초이후

SOL 조선 TOP3 플러스

1.76

21.31

35.18

52.3

47.13

KOSPI

-3.52

-2.82

-11.93

-3.28

-8.01

(12/11기준, Dataguide)




 

본 자료에 기재된 내용 중 투자참고 및 예측자료는 신뢰할 수 있다고 판단되는 각종 자료와 통계자료를 이용하여 작성한 것으로 투자판단을 돕기 위한 참고자료이며 향후 결과에 대한 보증이 되는 것은 아닙니다.

• 이 자료에 포함된 예측자료는 단지 상품에 대한 이해를 돕기 위한 참고자료로 작성 또는 인용되었고 이 자료의 예측에 따른 누구의 어떠한 행위의 결과에 대하여도 당사는 직간접적인 책임을 부담하지 않으며 해당 자료는 투자결과에 대한 법적 책임소재의 증빙자료로 활용되어서는 아니 됩니다.

• 해당 자료에 포함된 정보는 제공기준일 현재 당사가 신뢰할 수 있다고 판단되는 자료를 바탕으로 작성되었으나 당사가 그 정보의 정확성, 완전성, 적시성 등을 보증하지는 않으며 이 자료의 내용에 따라 행하여진 누구의 어떠한 행위의 결과에 대해서도 당사는 직간접적인 책임을 부담하지 않습니다. 당사는 해당 집합투자규약 및 (간이)투자설명서 에서 정하는 것 외에는 어떠한 추가적인 법률상의 책임도 부담하지 않습니다.

• 이 자료에 기재된 운용전략, 투자대상 및 투자비중은 금융시장 상황, 당사의 운용철학, 담당 펀드매니저의 투자판단의 등의 변동에 따라 집합투자규약과 투자설명서가 허용하는 범위 내에서 별도의 공시절차 없이 언제든지 변경될 수 있으며 모델 포트폴리오와 달라질 수 있습니다.

  이 집합투자증권은 자산가격 변동, 신용등급 하락, 환율변동 등 운용결과에 따라 투자원금의 손실(0~100%)이 발생할 수 있으며 그 손실은 투자자에게 귀속됩니다.

  이 집합투자증권은 예금자보호법에 따라 예금보험공사가 보호하지 않습니다. 특히, 예금자보호이 적용되는 은행 등에서 집합투자증권을 매입하는 경우에도 은행예금과 달리 예금자보호를 받지 못합니다.

  투자자는 집합투자증권에 대하여 금융상품판매업자로부터 충분한 설명을 받을 권리가 있으며, 투자 전 집합투자규약 및 (간이)투자설명서 등을 반드시 읽어보시고 확인하시기 바랍니다.

• 증권거래비용, 기타비용 추가로 발생할 수 있습니다.

• 과거의 운용실적이 미래의 수익률을 보장하는 것은 아닙니다.• 본 자료에 소개되는 금융 상품은 모든 투자자들에게 적합한 것은 아닐 수 있으며, 투자자들은 필요에 따라 개별적으로 전문적 조언을 얻어야 하며, 투자자의 재정상태와 투자 목적을 바탕으로 개인적인 투자결정을 내려야 합니다.

• 투자결정을 하기 전에 상품의 손익구조와 위험요소를 충분히 인지하신 후 신중하게 투자여부를 결정하시기 바랍니다.

• 과세기준 및 과세방법은 향후 세법개정 등에 따라 변동될 수 있습니다. 

“밤에도 아름다운 중앙공원 조성” 청주시 사업 시동

청주시는 상당구 중앙공원 일원을 안전하고 아름답게 조성하기 위해 야간경관 및 포토존 조성사업을 진행한다고 13일 밝혔다.

이번 사업으로 시는 역사와 전통을 지닌 중앙공원에 청주만의 상징성을 갖춘 현대적인 가드닝(정원화)과 감성적인 포토존을 1천㎡ 규모로 조성한다. 또한 야간경관 조명 등을 설치해, 낮에도 밤에도 관광과 휴식을 즐길 수 있는 공간으로 만드는 것이 목표다.

시는 이달 초부터 기본 및 실시설계를 시작했으며, 내년 2월 밑그림을 완성하고 3월에 본격적인 공사에 착수할 계획이다. 준공은 9월을 목표로 하고 있다. 총사업비는 5억원(도비 1억5천만, 시비 3억5천만)이 투입된다.

이번 사업이 완료되면 현대적인 분위기로 탈바꿈한 중앙공원을 중심으로, 그동안 어둡고 침체됐던 성안길 지역이 활성화될 것으로 기대된다. 

한편, 시는 ‘청주시 야간경관 테마파크 조성계획’에 따라 노후화되거나 침체된 도심 5개소(상당산성‧명암유원지‧중앙공원‧흥덕사지‧문암생태공원)를 야간경관 관광명소로 변모시키고 있다. 이 중 명암유원지 사업은 완료했으며, 상당산성 사업은 연말 준공을 목표로 마무리 단계에 있다.

청주시 관계자는 “관광명소에 야간경관 조성사업을 지속 추진해 시민의 여가활동과 체류형 관광에 다양하게 활용되도록 하겠다”고 밝혔다.


 

밤에도 아름다운 중앙공원 조성청주시 사업 시동